티스토리 뷰
주식을 하다 보면,
* 수급의 중요성( 아무리 매매가가 올라도 수급이 나쁘면
종가에 주가는 떨어져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실적의 중요성
*뉴스의 중요성(단발성이든, 장발성이든 전방위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 같다.)
내가 보기엔 기술적 분석보다 위와 같은 3가지 실질적 분석을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이 3가지는 서로 연관이 되어 주가의 방향을 정해주었다.
TIGER K조선TOP10 ETF를 분석하는 이유는,
나의 반려 주식이자 호재 뉴스와 악재 뉴스가 한꺼번에 나와
오전에 급상승, 오후엔 급하락..
몇 날을 지켜보다 그 이유를 찾아 정리하기로 했다...
트통의 K조 선사에 러브콜을 보낸다는 소식에 덥석 물었던 TIGER K조선 TOP10이
생각보다 자꾸 떨어진다.
호재와 악재가 혼재할 때 어느 편에다 물을 줄 것인가를 결정해야 했다.
미국이 실질적으로 한화오션에 잠수함 수리를 맡겼고, 한화오션은 미국의 상상이상의
것을 해냈다. 이것은 앞으로의 수주를 만들어냈다.
찬사가 극에 달했다니 ..난 호재에다 물을 주고 키우기로 했다.
문제가 되는 중국이 저가 공세로 우리의 수주를 다 가져갔었지만 기술의 한계로
다시 K조선으로 돌아온다는 뉴스를 들은 기억이 난다.
그럼 이건 시간의 문제이면서 기술의 차별화로 얼마든지 뛰어넘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한화오션과 HD현대 중공업의 미국 진출은 우리 K조선의 미국 진출의 교두보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트럼프의 K조선에 보낸 러브콜과 한화오션과 HD현대중공업의 미래
구분
|
미국 입장
|
한화오션
|
HD현대중공업
|
법 개정 추진
|
- ‘해군 준비 태세 보장 법’ 및 ‘해안경비대 준비 태세 보장 법’ 발의
|
- 법 개정 시 수혜 가능성 증가
|
- 법 개정 시 해외 조선소 활용 가능
|
법 개정 배경
|
- 조선업 기반 부족 및 인력난 심화
|
- 미국 조선업 부족 문제를 기회로 활용
|
- 법 개정 시 미국 해군 발주 참여 가능성
|
조달 계획
|
- 2054년까지 군함 390척 확보 목표
|
- 법 개정 시 신조 함정 수주 가능
|
- 법 개정 시 해군 및 해안경비대 함정 건조 참여 가능
|
발주 규모
|
- 364척 신조 함정 발주 예정
|
- 특수선 및 군함 건조 경험 보유
|
- 수상함 및 잠수함 건조 능력 보유
|
예산 규모
|
- 총 1조660억 달러(약 1,555조 원)
|
- 수주 성공 시 매출 성장 기대
|
- 수주 성공 시 특수선 시장 확대 가능
|
국내 조선소 조건
|
- 국가안보 신뢰 가능한 동맹국
|
- 미국과 군사 협력 긴밀
|
- 방산 및 특수선 분야 기술력 보유
|
경쟁력
|
- 일본, 호주 등과 비교해 한국 조선소 경쟁력 높음
|
- 미국 필리조선소(필리십야드) 인수로 현지 거점 확보
|
- 대형 수상함 및 잠수함 건조 경험 풍부
|
생산능력
|
- 미국 내 조선소 부족
|
- 2028년 이후 건조 능력 증가: - 수상함 4척(기존 +2) - 잠수함 5척(기존 +3) - 창정비 2척(기존 +1)
|
- 연간 생산능력: - 수상함 3척 - 잠수함 0.5척 - 창정비 1척
|
추진 전략
|
- 동맹국 조선소 활용 가능성
|
- 호주 오스탈 지분 19.9% 인수 추진(미국 내 협력 확대)
|
- 미국 내 조선소 확보 검토 중
|
시장 전망
|
- 미국 해군, 해외 조선소 활용 검토 중
|
- 법 개정 시 200조 원 이상 수주 가능성
|
- 법 개정 시 특수선 시장 확장
|
리스크 및 과제
|
- 법 개정 후에도 미국 내 생산시설 확보한 업체 유리할 가능성
|
- 미국 내 추가 생산시설 확보 필요
|
- 정부 차원의 금융 및 정책 지원 필요
|
결론적으로,
미국이 조선업 기반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맹국 조선소 활용을 고려 중이며, 법 개정 시 한화오션과 HD현대중공업이 주요 수혜자가 될 가능성이 높음.
하지만 미국 내 생산시설 확보 및 정부 지원 확대가 필요하므로
이에 대한 전략적 대응이 요구됨.
단기적으로는 주가 변동성이 크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수주 확대 및 기술력 강화를 통해 성장 가능성 기대.
이렇게 좋은 호재에 찬물을 끼얹는 악재를 정리해 본다.
한국 조선업계 주요 악재
구분
|
제목
|
내용
|
악재
|
전 세계 선박 발주량 감소
|
- 2025년 2월 기준, 전년 대비 65% 감소 (코로나19 때보다도 -20.1%)
|
|
중국 조선업의 저가 공세
|
-한국 조선업의 글로벌 점유율 감소와 중국의 시장 점유율 확대 문제를 다룸.
국내 조선업계는 3년 치 일감을 확보했으나,
세계 시장 점유율은 30%에서 17%로 감소.
|
|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부담
|
- 강재 및 기자재 가격 상승으로 조선사 원가 부담 증가
|
|
선가지수 하락 지속
|
- 23주 연속 하락 (LNG선 -3.4%, VLCC -3.8%, 컨테이너선 -0.9%)
|
|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
|
- 해운 시장 침체 시 추가 발주 감소 가능성
|
|
인력 부족 문제
|
- 숙련 인력 부족으로 생산 차질 가능성
|
|
공매도 및 외국인 매도세 증가
|
- 외국인 대량 매도 및 공매도 재개 우려로 주가 하락 압력
|
만만치 않은 악재다. 특히 원자재 가격 상승, 인력 부족인데
공매도를 3월 말부터 다시 시작하니 여태 올랐던 조선사들의
주가에 영향이 클 것이란 생각이 든다.
25년 3월 20일 종가 TIGER K조선TOP10 의 수급표.
외국인이 매수가 기관보다는 낫다. 의미를 부여해본다.
2월 말보다는 매수량이 많고, 최정점 16.345원에서 현재 15,370원으로 6%가
빠졌으니 물을 조금씩 타기로 결정했다.
9천원에서(24년11월) 16천 원이면 (25년 2월) 78% 상승했으니 ,
차익실현도 공매도의 타깃이 될 가능성도 농후하다.
결론... 오늘의 하락은..
- 외국인 매도세: 외국인 투자자들이 대규모 매도에 나서면서 주가 하락을 주도.
특히 HD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한화오션 등 주요 조선주에서 외국인의 매도세가 집중되었습니다.
- 단기 과열에 따른 차익 실현: 조선업 관련 주식들이 단기적으로 과열된 상태였으며, 이에 따라 투자자들이 차익 실현에 나선 것으로 분석됩니다.
-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 글로벌 경제 상황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조선업 관련 주식에 대한 투자 심리가 위축되었습니다.
조선사들의 미래가 어둡지 않다고 판단, 조선은 각개전투 대신 ETF로 도전..
지금부터 20% 수익을 향해 가보자.
계속 뉴스를 검색해서 정보를 업데이트 하자.
그게 주식하는 재미니깐,.
트럼프의 러브콜에도 고민이 많은 K 조선사들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조선업 부활을 선언하며한국을 파트너로 지목하였어요. 국내 조선사들에겐 호재가인 줄 알고TIGER 조선 10 ETF 를 발 빠르게 샀건만.. 이게 호재가 아니었나 보네.. 하는
story6216.tistory.com

'주식과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보험 피부양자 탈락 기준 (0) | 2025.03.25 |
---|---|
더 늦지 않게 3월에 준비하는 고배당주...또 추가했어요 (2) | 2025.03.21 |
이럴거면서 왜 떨어졌었니 두산에네빌리티야? (2) | 2025.03.19 |
잘나가던 JYP는 왜 흘러내리나? (2) | 2025.03.18 |
오늘 조선주가 뛰어 올랐다 ! (2) | 2025.03.18 |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