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주식과경제

배당소득세 0%의 매력

주식러너 2025. 3. 28. 17:24

 

 

배당금을 받을 때 15.4%가 빠진 금액으로 입금될 때 아깝다!라고 생각하죠.

그래서 이걸 아까워하는 사람들은 배당금을 더 효과적으로 수령하기 위해 ISA 계좌를 개설합니다.

ISA 계좌에서는 배당소득세(15.4%)를 원천징수하지 않고, 만기 시에 배당세를 걷어가는데

9.9%의 낮은 세율이 적용되죠.

만약 비과세 혜택 범위(200만~400만 원) 내 배당금을 받으면 세금조차 내지 않고

전부 수령할 수 있습니다. 그야말로 배당 투자자들에게는 최적의 절세 방법이죠.

그런데 어제 한 블로거님의 글을 읽다가 뜻밖의 깨달음을 얻었습니다.

"유레카!"라고 외쳤지만, 무언가를 알아냈다는 기쁨이 아니라

**"이걸 더 알고 싶다!"**는 강한 궁금증에서 나온 유레카였어요.

그건 비과세 배당이었어요.

그래서 저처럼 궁금하실 분들이 있을 것 같아, 이 내용을 한 번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배당 투자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내용이니까요.

<비과세 배당이란?>

* 일반적으로 배당금은 기업이 영업 활동으로 벌어들인 이익을 재원으로 삼아요.

* 러나 비과세 배당은 이익잉여금으로 사용하죠.

이는 자본을 배당으로 전환하여 사용한 것이라 미래 성장 투자 여력이

감소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어요.

* 이 같은 이유로 '감액 배당'으로도 불립니다.

 

<비과세 배당의 주요 특징>

  • 개인 주주는 15.4% 배당소득세 면제로 배당 수익 증가 효과 짱!

예를 들어 500만 원의 배당금을 받을 경우 전액 500만 원이 계좌에 들어옵니다.

이는 기존 배당 방식에 비해 개인 주주들에게 매우 유리한 제도입니다.

  • 대주주들에겐 비과세 배당금을 얼마를 받든 금융소득 종합과세(연 2,000만 원 초과)

대상이 안되어 더욱 혜택이 큽니다.

< 많은 기업이 비과세 배당을 못하는 이유: >

자본준비금과 이익준비금의 합이 자본금의 1.5배를 초과해야 하기에

많은 기업이 실시하기는 어려워요.

반대로, 이걸 할 수 있는 기업은 잘 나간다는 의미겠죠.

< 기업이 비과세 배당을 실시하는 이유 >

*세후 수익률을 높여 투자 매력을 증가

* 주가 안정 및 기업 이미지 개선을 도모하기 위함

* 주주 친화적인 정책으로 장기적인 투자 유치를 촉진

< 현재 비과세 배당을 실시하는 기업 >

메리츠금융 지주, 하나투어, 크레버스, 넥스틸, 일진홀딩스 등

KCC글라스, OCI, 유화증권 ,일동홀딩스, 에스디바이오센서 등

이들 기업의 공통점은 최대주주 지분율이 40~70%로 높다는거고

그러니 비과세 배당을 해야하겠죠.

 

 

< 비과세 배당을 할 우리금융지주로 예시 보기>

  • 계획:

3조 원을 이익 잉여금으로 전환한다.

미래 성장에 혹 누가 될까 향후 3~4년간 비과세 배당을 실시할 예정.

  • 영향:

우리금융지주 주가는 2. 7일 처음으로 감액 배당 결정을 발표한 이후

8.51% 올랐다.

세후 배당수익률이 KB·신한·하나금융지주를 초과할 전망

  • 시기:

25년 3월 주주총회에서 승인되면 올해 결산 배당부터 적용됩니다.


🔹 비과세 배당 핵심 요약

배당소득세(15.4%) 면제, 금융소득 종합과세 제외

세후 배당수익률 증가 → 주가 상승 기대

모든 기업이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님

내용이 거대할 것 같아도 정리하니 간단하게 요약이 되네요.

도움이 되시길요 ~~

투자 잘~~해서 부자 되세요 ^^

 
공지사항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글 보관함